페이지

20191216

교정 - 치기공 국시노트 요점정리(컴퓨터 파일로 만들어 두었던것)

**스마트폰으로 가끔 참고하라고. 
한 페이지로 공개한 것입니다.**
ctrl+F 로 단어검색 가능합니다.
* 전과목을 하나로 등록이 안되서, 과목별로 올렸습니다.

교정
교정기공학 국시 출제 분류
1.총론    ------------------------------------------------- 2문제
  (치과교정학 개론, 성장발육개론, 정상교합과 부정교합, 교정생역학, 교정장치, 보정)
2. 기구    ------------------------------------------------- 1문제
3. 연구모형    ---------------------------------------------- 2문제
4. 기본기술 및 가철성 교정장치  -------------------------------- 3문제
  (교정용 wire 구부리기, clasp, 교정용screw, 상교정장치, retainer, 등등)
5. 고정성 교정장치  ------------------------------------------ 2문제
  (보격장치, 공간확보장치, 악궁확대장치)
6. 구강악습관 제거장치  --------------------------------------- 1문제
7. 기능적 악교정장치    --------------------------------------- 3문제
8. 보정장치 ------------------------------------------------- 1문제

총  론  (2문항)
[교정기공학 서론]
1.교정치료의 목적 ⇒ 부정교합에 의한 장애를 방지하기 위하여 치아나 악골에 물리적인 교정력을 가해 그 위치를
변화시키고 양호한 교합상태로 개선함 (부정교합을 정상교합에 가깝게 유도)
1-1.근대 교정학의 목적교합과 악골의 성장발육을 유도하고, 부정교합을 예방, 치료.
1-2.교정치료에 의해 얻어지는 잇점:  1)개개치아의 위치개선  2)치열궁의 상하관계 개선  3)악안면의 이상이나 기능 개선
4)부정교합에 따른 각종 장애 제거  5)구강질환의 예방이나 구강주위 조직의 건강 증진
2.부정교합에 의한 장애
   1)생리적. 병리적 장애 ⇒ 저작기능 장애, 발음 장애, 치아우식증 이환, 치주질환 원인, 악관절 기능 장애,
외상의 원인, 악골 성장 발육에의 영향, 구강 주위근 작용에의 영향, 보철수복치료에의 영향
2)심리적 장애 ⇒ 열등감, 대인기피증
2-1.부정교합의 원인
1)선천적 원인: 유전적원인, 유전적경향이 있는 선천이상. 염색체이상에 의한 원인, 비유전적 원인
2)후천적 원인: 전신적 원인, 국소적 원인.
3.교정학의 분류★★
   1)예방교정학 ⇒ 현재는 부정이 없지만 정상교합을 변화시킬 수 있는 원인을 제거하여 부정교합을 예방  
                   ex) 인접면의 치아우식증 조기 치료, 구강 악습관의 제거, 공간 유지장치
   2)차단교정학 ⇒ 현재 비정상이 존재하고, 부정교합을 더욱 더 악화시킬 우려가 있을시 비교적 간단한 장치로
장애인자를 제거하는 조기치료   ex)연속발치술(serial extraction), 공간 확보장치, 악습관 제거장치
                  ※예방교정학과 차단교정학을 비교할 수 있어야 합니다.
   3)본격교정학 ⇒ 부정교합이 확실히 존재하며, 앞으로 발생될 부수적인 문제들을 제거 및 감소
                 -제한적 본격교정학 ⇒ 혼합치열시기 부정교합치료 (비교적 간단한 교정장치)
                 -확장적 본격교정학 ⇒ 혼합치열 후기나 영구치열기 부정교합치료 (넓은 범주의 교정)



[성장발육개론]
1.성장발육의 정의
  • 성장 ⇒ 생물의 양적 변화 , 해부학적 현상.
  • 발육 ⇒ 개체의 기능적 분화, 성숙, 복잡화 등 질적 변화, 생리적,행동적 현상
  • 성장발육 ⇒ 서로 다른 현상을 구분하지 않고 어떤 개체가 성숙의 과정을 밟는 것
a.성장상태 척도: 발육연령(신체성숙도,골성숙도,치아성숙도,성적성숙도)
                 =>달력연령은 개인성장의 다양성 때문에 척도가 되지 못한다.
b.성장의 두미경사: 머리에서 발끝까지 ssofu가는 성장의 축이 존재해 머리쪽 성장이 빨리 끝나고, 아래로 내려올수록
일정지점까지 성장이 지속.
2.달력연령과 발육연령
  • 달력연령 ⇒ 경과 시간에 따라 성장발육을 나타내는 연령
  • 발육연령 ⇒ 신체성숙도, 골성숙도, 치아성숙도, 성적성숙도
3.Harris와 Scammon의 장기 발육 곡선 (*일반형,신경계형 – 교정치료와 관계 깊음)
  1)일반형★ ⇒ 골격, 근육, 호흡기, 소화기, 신장, 비뇨기, 하악골⇒5세경까지의 유아기와, 12세~사춘기에서 급격한 성장
  2)신경계형★ ⇒ 뇌, 척수, 시각기를 둘러싼 뇌두개, 척추, 상악골 ⇒6세까지 성인의 90% 완성
  3)생식기형 ⇒ 고환, 난소, =>사춘기 이후 급격한 성장
4)림프형 ⇒ 흉선, 림프선, => 12세경 성인의 2배 이후 감소양상. 20세경 정상
3-1. ‘V’확장이론안면골격성장의 주요기전.
                 ‘V’의 외측면에서 골흡수. ‘V’의 내측면에서 골첨가가 일어나고 결과로
                 ‘V’는 넓은 쪽을 향해 이동하고  ‘V’자의 크기가 커진다.
4.골형성방법 a.골막성 골형성 ⇒ 두개관(두부의 봉합부위), 상악골, 하악골골막의 외면, 해면골의 골수면
                  피질골유동-안쪽이 없어지고,바깥쪽 두개골이 추가되며 뇌가 커짐.
b.연골성 골형성 ⇒ 가동성 관절에 부속된 골(
하악과두), 두개저의 연골결합부위. 두개저가 뇌를 받치며 성장함.
5.안면두개의 성장 발육 : 골막성 골형성.  성장과 성장이동의 방향: 전하방
a.상악골 ⇒ 골막성 골형성전, 후, 상, 하, 양측방으로 모두 성장하나 전하방으로 이
b.하악골 ⇒ 골막성 골형성하악과두는 연골성 골형성.  하악골 자체는 후상방으로 성장하나 전하방으로 이동
6.치아의 맹출 순서
⊙ 상악 ⇒ 6-1-2-4-5-3-7 (동양인), 6-1-2-4-3-5-7 (high canine) ⊙ 하악 ⇒ 6-1-2-3-4-5-7, 6-1-2-4-3-5-7 (locking)
⇒유치맹출순서⇒A.B.D.C.E
⊙ 치근이 1/3정도 형성되었을 때 치관이 맹출- 유치맹출완료시까지 치열궁은 길이와 폭이 함꼐 성장. 하악이 전방이동
                                             유치열 완성후 견치간폭경은 변하지 않고, 유구치간은 증가, 장경은 감소
7.유치열에 존재하는 공극★★
  1)발육공극 ⇒ 4,5세경 유전치 사이 공간( 영구절치의 맹출 용이)
  2)영장공극 ⇒ 상악은 유견치 근심공극(영구 전치의 배열 용이),
하악은 유견치 원심공극(제1대구치의 맹출시 조기 근심이동을 위해)
  3)Leeway space ⇒ 편측의 C, D, E의 근원심 폭경의 합에서 3, 4, 5의 근원심 폭경의 합을 뺀 차.
                    여자가 남자보다 0.2mm정도 크고, 하악이 상악보다 2.0mm정도 크다.
(제1대구치의 맹출시 만기 근심이동을 위해).
8.제2유구치교합
  1)수직형 ⇒ 상, 하악 제2유구치의 원심면이 같은 수직선 상에 있는 경우.
  2)근심계단형 ⇒ 상악 제2유구치의 원심면보다 하악 제2유구치의 원심면이 근심에 위치
  3)원심계단형 ⇒ 상악 제2유구치의 원심면보다 하악 제2유구치의 원심면이 원심에 위치
  -수직형과 근심계단형은 Ⅰ급, Ⅱ급, Ⅲ급 구치교합으로 진행되나, 원심계단형은 Ⅱ급으로  진행
9.영구 전치의 맹출
  ‣상악 ⇒ 중절치, 측절치의 원심경사와 정중이개(미운 오리 새끼 시기)➜역령 정상교합
  ‣하악 ⇒ 설측으로 맹출하지만 차차 순측으로 이동

[정상교합과 부정교합]
1.정상교합 (정상적인 치열과 교합의 공통된 성질)
  1)요철과 틈이 없는 U자형 or 방물선형의 교합면
  2)상악전치가 하악전치의 ⅓정도 겹치며, 수평피개교합이 2mm미만이어야 한다.
  3)1치대 2치의 교합 관계를 가져야 한다.(하악중절치와 상악 제3대구치는 1치대 1치) 
  4)중심교합위에서 대합치와의 바른 접촉관계를 가져야 한다.
  5)적당한 조절만곡을 가져야한다.
  6)편심교합(하악이 전방 또는 측방운동할때의 동적인 접촉관계)에서의 접촉관계가 정상이어야 한다.
overbite ⇒ 중심 교합위 상태에서 상악 전치 절단과 하악 전치 절단간의 수직적인 거리
overjet ⇒  중심 교합위 상태에서 상악 전치 절단과 하악 전치 절단간의 수평적인 거리
절단교합(edge bite) ⇒ 중심교합위에서 상하전치 절단이 거의 같은 선상에 위치
과개교합(deep bite) ⇒ 중심교합위에서 상악전치가 하악전치를 ⅓이상 과도하게 피개
개교교합(open bite) ⇒ 중심교합위에서 상하전치 사이가 열림. 절단간 틈 발생. overbite없다.
반대교합, 교차교합(cross bite) ⇒ 하악이 상악을 피개하는 상태
★★★
2.정상교합의 분류★★
  1)가상정상교합 ⇒ 치아가 그 기능을 최대로 발휘할 수 있는 이상적인 교합상태
  2)전형정상교합 ⇒ 인종적 민족적으로 공통된 특징을 가진 정상교합
  3)개성정상교합 ⇒ 개인차를 인정하는 정상교합, 개인에게 가장 이상적인 교합  ☆교정치료의 최종 목적
  4)기능정상교합 ⇒ 형태해부학적 결함은 있지만 저작, 발음 등 기능에 이상이 없는 교합
  5)역령정상교합 ⇒ 각 연령에 따른 정상교합
3.Six keys to optimal occlusion
  1)interarch relationship 교합관계
  2)crown angulation (근원심 경사) - 상하악 견치의 각이 많이 기움
상악., 5°, 9°, 11°, 2°, 2°, 5°, 5°.      하악., 2°, 2°, 5°,  2°, 2°, 2°, 2°.
  3)crown inclination (순설 경사) - 상악 중, 측절치만 positive의 각도이며 나머지는 후방치로 갈수록 negative의 각이 커진다.
  4)rotations 회전없어야
  5)tight contact 공간없어야
  6)curve of spee 자연스러운
4.치아의 위치 이상★
  1)전위 ⇒ 치열궁내 정상위치에서 치아가 변위 (‘이전’이 정상적 위치서 벗어난 것)
  2)경사 ⇒ 정상적인 치축보다 기울어진 상태
  3)회전 ⇒ 치아장축을 중심으로 회전한 것
  4)고위 ⇒ 교합평면을 넘어선 상태
  5)저위 ⇒ 교합평면에 이르지 않은 상태
  6)이전 ⇒ 두개의 치아가 서로 위치를 교환한 것
5.치열궁 형태의 이상
  1)협착 치열궁 ⇒ 구치들의 설측전위에 의해 치열의 폭이 좁게된 치열궁.
  2)V자형 치열궁 ⇒ 측방치가 설측전위하고 전치가 순측전위, 경사된 v자형의 협착치열궁.
  3)안장 치열궁 ⇒ 주로 하악의 소구치가 설측 전위, 경사되어 말안장의 형태가 된 치열궁.
  4)공극 치열궁 ⇒ 치아와 악골의 크기부조화로, 치아 인접면에 공간이 있는 치열궁
6.Angle의 부정교합 분류법★★★
  1)제Ⅰ급 부정교합 ⇒ 상.하악 치열궁의 근원심 관계는 정상이나, 과개교합,개방교합,전치부총생,양악전돌증등이 존재
다른 치아에 이상이 있는 교합상태 (가장 높은 발생 빈도)
  2)제Ⅱ급 부정교합 ⇒ 상악 제1대구치의 근심협측교두정에 대해 하악 제1대구치의 근심협  측구가 원심에 위치한 상태
                     ▶제1류 ⇒ 하악 원심교합, 상악 전치의 전돌 수반
                                하악전치의 고위, overbite overjet이 크다구호흡동반, spee만곡 심하다. ‘V’shape
                     ▶제2류 ⇒ 하악 원심교합, 상악중절치의 설측경사 혹은 상악 중, 측절치의 설측경사
                                상악전치의 고위, overbite깊지만 overjet은 작다정상호흡, ㄷ’shape
  3)제Ⅲ급 부정교합 ⇒ 상악 제1대구치의 근심협측교두정에 대해 하악 제1대구치의 근심협 측구가 근심에 위치한 상태
                       전치부 반대교합, 근심교합.  상악전치는 설측경사고, 하악전치는 순측경사이다.
  ◎Angle분류의 장점 - 매우 간단, 특별한 진단장비 불필요, 임상적 응용이 용이
                단점 - 제1대구치의 탈락시에는 분류의 문제
                      - 안면두개에 대한 위치관계를 알수 없다.
                      - 악궁의 수직관계이상이나 수평관계 이상을 알 수 없다.
                      - 개개치아의 위치 이상을 알 수 없다.
                      - 영구치에만 적용된다.
7.Graber의 부정교합: 부정교합의 발생원인에 근간, 두부방사선 규격사진법으로 분류
 *angle – 근대 치과교정학 확립, 비발치론 주장함. 부정교합을 분류.

[교정생역학]
교정력이란: 교정치료시 이동시키고자 하는 치아나 악골에 주어지는 외부의 모든 힘
1.교정력의 크기
  ▶최적의 교정력 ⇒ 약한 교정력, 모세혈관의 압과 같은 교정력
                    최적의 교정력은 치아마다 다름. 생리적으로 안정. 부작용이 적다. 시일이 오래 걸림
                    ⊙ Jarabak의 최적 교정력: 1㎠당 80~150 gm
                    ⊙최적교정력의 임상적소견 - .이동치의 자발통과 타진통이 없어야 한다. 치아이동 및 치주조직의
                                                개조가 명확히 나타난다.방사선검사시 치주조직,에 이상없어야 한다.
  ▶과도 교정력 ⇒  이동치의 치근 흡수가 우려. 조직 압박. 치근막 빈혈. 초자양성 변성.
치아 이동이 지연되다가 도약적으로 이동
2.교정력과 작용시간과의 관계
  1) ★ 지속적인 힘 ⇒ 힘이 reactivation되기까지 지속되는 힘 spring, 고무줄, 설측호선장치, 보조스프링
  2) ★ 단속적인 힘 ⇒ 급속확대장치등에 생기는 힘으로 일시적 강한힘 발휘, 곧 감소를 반복. screw, 결찰선, 주기적 쪼여야.
  3) ★ 간헐적인 힘 ⇒ 장치를 사용할 때만 교정력이 발생 가철성 장치, 헤드기어, face mask,교합사면판 등
3.치아이동의 생역학
  1)약한 교정력(최적의 교정력)일때
    ▶압박측 - 혈류 감소. 산소량 감소. 파골세포 출현→치조골의 흡수(직접성 골흡수)
    ▶인장측 - 치주 섬유의 인장. 조골세포 출현→치조골의 첨가. 침착
  2)과도한 교정력
    ▶압박측 - 혈액 및 산소공급안됨. 괴사. 무세포대(초자화, 초자양성 변성)→압박 부위에 인접한 주위
치근막에 파골세포가 출현함으로 흡수가일어남. 빠른 속도의 흡수(간접성, 천하성 골흡수)
    ▶인장측 ⇒ 치주섬유의 일부가 끊어질수도 있으나 곧 조섬유세포의 증식. 조골세포 출현→치조골의 첨가. 침착
4.치아의 이동형태★(반드시 상단의 치아의 위치이상과 구별하여 공부할 것)
  1)경사이동 ⇒ 치근단 1/3을 기점으로 치관과 치근이 반대방향으로 이동
  2)치체이동 ⇒ 치축에 변화를 주지 않고 치관과 치근단이 같은방향으로 평행이동.
  3)치근이동(torque) ⇒ 치관의 이동 없이 치근만을 이동시킴
  4)회전이동 ⇒ 치아 장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이동시킴
  5)압하 ⇒ 치아장축방향으로 치조골 내로 함입
  6)정출 ⇒ 치아장축방향으로 치조골 반대방향으로 빠져나옴
5.고정
고정은: 치아 or 치열, 악골의 교정치료시 주어지는 교정력의 반대부위
고정원은: 최소로 움직여지도록 계획해야 함교정력의 반대가 되는 부위를 말함.
1)힘의 적용범위에 따른 고정의 분류
   •단순고정 ⇒ 고정원이 경사지면서 교정력에 저항
   •정지(부동)고정 ⇒ 고정원이 경사되지 않고 치아전체로 교정력에 저항하는 고정. 단순고정보다 강하고, 고정원이 치체이동 됨.
   •상호고정 ⇒ 교정원과 고정원이 상호 같은 양만큼 반대방향으로 움직임
2)연관된 악골에 따른 고정의 분류
   •악내고정 ⇒ 교정원과 고정원이 동일한 악골내에 있음
   •악간고정 ⇒ 교정원과 고정원이 서로 다른 악골내에 있음
3)고정원의 위치에 따른 분류
   •구내고정 ⇒ 고정원이 구강 내에 있음
   •구외고정 ⇒ 고정원이 구강 외에 있음(ex. head gear. face mask)
   •근육고정 ⇒ 고정원이 근육의 활동으로 유도되는 경우(ex. lip bumper)
4)고정원의 수에 따른 분류
   •단일치아고정 ⇒ 단 하나의 치아만의 고정의 역할을 담당
   •다수치아고정 ⇒ 두개 혹은 그 이상의 치아가 고정원을 담당
   •보강된 고정 ⇒ 치아 외에 점막 근육 두개골 등을 고정원으로 사용
5)고정력의 정도에 따른 분류
   •최대고정 ⇒ 고정원이 발치 공간의 ¼ 이내로 근심이동 하는 경우
   •중간고정 ⇒ 고정원이 발치공간의 ¼~½ 이내로 근심이동 하는 경우
   •최소고정 ⇒ 고정원이 발치공간의 ½이상 근심이동 하는 경우

[교정장치]★★
1.장착된 장소에 따른 분류
  •순측장치 ⇒ 치열궁의 외측에 장착 (ex).순측호선장치
  •설측장치 ⇒ 설측에 장착 (ex).설측호선장치
  •순설측장치 ⇒ 순설측에 동시에 장치가 장착 (ex).대부분의 상교정장치
2.사용재료에 의한 분류
  선교정장치 ⇒ band와 wire로 이루어진 장치 (대부분 고정성 장치이다)
  상교정장치 ⇒ 상(resin)이 포함된 장치는 모두 상교정장치이다. (대부분 가철식 장치이다)
3.교정력을 발생시키는 방법에 따른 분류★★
  기계적 교정장치 ⇒ 치아나 악골에 물리적인 힘을 직접 가함으로써 이동(screw, spring, elestic, lavial bow, lingual arch)
  기능적 교정장치 ⇒ 조직이나 근육의 힘(수축력)을 교정력으로 이용하는 장치
         ★activator, bionator, FR, oral screen, inclined plate, bite plate, lip bumper,tooth positioner
4.장착하는 방법에 따른 분류
  •고정식 장치 ⇒ 장치가 구강 내에 고정되어 환자임의로는 착탈이 불가능한 장치
   -band가 장착된 장치는 모두 고정식이다 (ex. lingual arch, band&loop, R.P.E., labial arch, T.P.A. 등..)
   -multi-bracket appliance
  •가철식 장치 ⇒ 환자 임의로 착탈이 가능한 장치(대부분의 상교정 장치)
   ▶가철식 교정장치의 장점과 단점
     1)장점 ⇒ 부작용이 적다.
               구강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제작이 간편하다.
               chair time이 짧다.
               치료중의 성장 촉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기능적인 근육의 힘을 이용하는 경우 생리적인 치아이동이 가능하다.
      2)단점 ⇒ 환자의 협력정도에 따라 치료효과가 크게 좌우된다.
                적용범위가 넓지 못하다.    치료기간이 길다.       개개치아의 정교한 이동이 불가능하다.
5.교정력의 활용에 따른 분류
  •능동적 장치 ⇒ 구강 내 치아나 악골을 이동시킬 목적으로 장착되는 장치
       ex. active plate, lip bumper, head gear, face mask, chin cap
    ☞head gear, face mask, chin cap은 구외장치이기도 하며. 악정형장치이기도 하다.
  •수동형 장치★ ⇒ 치아나 악골에 인위적인 힘을 가하지 않고, 구강 내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때 사용하는 장치
       ex. retainer, space maintainer, bite plate(?)

[보정 retention]
  ⇒교정치료에 의해 이동되어진 치아나 악골이 그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주위조직과의 적응을 도모하는 것.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려는 현상(재발, relaps)을 막는 것.
    교정치료의 최종 목적은, 자연 보정이며, 자연적 보정이 확립되기까지는 기계적 보정이 필요.
*자연적보정: 근육기능균형, 구강악습관제거, 올바른교두감합, 치아식립조화, 성장발육조화
*기계적보정: 치아의 심한 회전, 총생, 골격이상, 긴밀하지 못한 교두감합, 부적절 압력, 구강 악습관 존재.
*고정식 보정장치의 기능적과 비기능적 보격장치의 분류는 무엇으로 구별하나? 대합치의 맹출 방지
1.보정장치의 구비조건(retainer의 요구조건)
-재발을 막을 수 있어야 한다.   -치열의 성장발육을 저해하지 않아야 한다.
-발음 및 저작 등의 구강기능을 저해하지 않아야 한다.   -저작 시 개개 치아의 생리적 운동을 허용해야 한다.
-이물감이 적고 wire가 씹히지 않아야 한다.   -심미적이고, 제작이 간단하며, 견고하고, 조절이 쉬워야 한다.
-구강 내 청결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2.가철식 보정장치의 종류
  1)Hawley retainer ⇒ resin, clasp, labial bow로만 구성. 가장많이 사용. 구치 모두를 보정하기에는 부족함이 있다.
2)Begg retainer(Circumferential retainer, Wraparound retainer) : 소구치와 대구치의 협측변위를 방지. 보정시 견치 소구치간
  남아있는 공간 폐쇄에 적절, wire가 교합면위를 지나지 않아 교합장애가 없어 교합이 긴밀할 경우 사용한다.
* Wraparound retainer: 소구치 발치한 공간 폐쇄에 좋은 보정장치 ( U loop 이용)
3)Spring retainer ★⇒ 보정 중 혹은 보정 후에 생기는 하악 전치의 가벼운 염전이나 총생을 치료하고(wire의 탄력에 의해)
치료 후에는 그대로 보정장치로 사용한다.  (교정+보정)
☞교정과 보정을 동시에 담당하는 것에는 tooth positioner(dynamic positioner)도 있다.
      ▶제작과정
       -set up 모형 제작 → 치아의 근원심 폭경을 소실하지 않으면서 하나씩 분리하여 재배열. 재배열 시 너무
많은 변위가 일어나지 않도록 분리 전 guide로 사용 될 치아장축선 및 가로선을 모형상에 기입해 둔다.
       -paraffin wax로 고정
       -wire bending
       -resin pouring
       -polishing
4)Tooth positioner ⇒ spring retainer와 마찬가지로 교정+보정을 담당하며, 기능성 장치 중의 하나.
                     Set up이 필요한 동적보정장치. 보정기능과 함꼐 치아배열의 세부수정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
                     적응증: 경미한 class 1.2, 미약한 총생, 과개교합, 교차교합
                     장점: 교정치료와 보정기능. 가철식. 탄성이 있어 치아에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는다.
                     단점: 환자의 적극적 협조가 필요, 적절한 치아 재배열에 세심한 주의 필요, 장착시 음식섭취 대화 불가능.
                          구호흡환자 적용 곤란.
  5)Activator ⇒ 상악에 대해 하악을, 하악에 대해 상악의 관계를 보정할 때 사용
                Activator를 사용하여 교정한 후 보정장치로 사용
6)이모장치(chin cap): 하악전돌치료후 보정장치로 사용
7)Bite plate(교합거상판)
2-1.고정식 보정장치(fixed retainer)
가)임시보정
  1) lingual arch
    2) 견치간 보정장치(Canine to canine retainer = 3-3 lingual retainer)
⇒ ★retainer 중 유일한 고정성 retainer. 환자의 협조도가 좋지 않은 경우 사용주로 하악전치열에 사용.
나)영구보정: 보철적으로 영구적인 보정

기구 (1문항)
1. 선재료의 요구조건 ( wire 의 요구조건)
  1)강도가 강하고 탄력이 좋아야 한다.
  2)취급이 용이해야 한다.
  3)자장, 광미, 독성이 없어야 한다.
  4)구강 내에서 화학적 변화가 없어야 한다.(변색 및 부식에 대한 저항성)
  5)납착 및 열처리가 가능해야 한다.
  6)납착 시 열전도도가 낮아야 한다.
  7)경제적이어야 한다.
2. 교정용band의 요구조건
  1)치아에 정확히 접합, 작업이 쉬워야 한다.
  2)얇고, 강하여 저작력에 변형되지 않아야 한다.
  3)soldering, welding이 쉬워야 한다. (납착용이)
  4)구강 내에서 화학적 변화가 없어야 한다..(변색 및 부식에 대한 저항성)
  5)독성, 자장, 광미가 없어야 한다.
3.플라이어(plier)
  1)young plier⇒ 편측은 각형, 다른쪽은 원추모양의 3단계 굵기, 급각도 굴곡이나 부드러운 굴곡에 모두 사용
  2)angle plier(bird beak plier)⇒ 선단편측 원추형, 다른쪽은 피라미드형, 원추형의 굵은부분-loop 만듬, 벤딩의 기본툴
  3)arrow forming plier⇒ arrowhead clasp만 제작.
4)how’s plier⇒ band 제작용.
5)adams plier⇒ arrow head clasp의 굴곡에 적당.
6)arrow forming plier⇒ arrow head clasp 제작만을 위한 특수 plier

납착
1)납착용 합금: 주로 은납사용, 500~700℃의 낮은 온도에서 용융
                Ag는 변색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고 용융점을 낮춘다.
 2)납착방법
flux는 borax에 불화붕산칼륨을 첨가하여 사용. 가열전 도포,  굴기가 다른 와이어는 굵은 와이어에 융제도포.
납착면은 꺠끗해야하고,서로 수동적으로 접촉해야한다. 불꽃은 최소한의 크기로, 환원대를 사용하여, 신속하게 실행.
⊙자제납착: 피납착물을 손가락으로 유지하고 납착을 행하는 방법
           장점: 납착조작이 간편하고 단시간내 실행가능. 납착부위 과열방지함.
           단점: 정확한 위치관계가 바뀔수 있다.
⊙매몰재납착: 와이어가 소둔되서 탄성이 소실될 우려, 시간소요, 정확한 위치에 납착가능
 3)납착이 필요한 교정장치 – 대부분의 고정식 장치, anti-finger sucking appliance,  lip bumper. RPE. Quad helix..

연구 모형 (2문항)
  ▶교정치료를 위한 진단자료
    -안면 규격사진
    -panorama X-선 사진
    -두부 X-선 사진
    -구강 내 사진
    -교정용 연구모형
   1)시간 진행에 따른 구강 내 형상을 입체적으로 구체화할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자료
   2)치아배열, 교합 관계, 악관계의 관찰과 계측, 기록을 위한 자료
   3)환자의 교육, 임상증례의 연구에도 이용
1.진단용 모형의 종류 (연구모형)                *교정 진단용 인상채득- alginate 인상재
   *악태모형과 수평모형의 차이점 알아두기
  1)악태모형 ⇒ 사람이 자연스럽게 서 있을 때의 구상상태를 그대로 재현
               안와평면과 안이평면이 모형의 기저면에 나타난다.
              시간경과에 따른 비교가 용이하다.  기준점을 측정하는 전용기구가 필요하고 과정이 복잡하다.
  2)수평모형 ⇒ ★교합평면과 모형의 기저면이 평행되게 제작
                  제작과정은 간단하지만 치아의 경사 등에서 시각적 오차를 가져올 수 있다.
  3)경사모형 ⇒ 악태모형과 수평모형의 장점만을 가진 것으로
평균치의 교합평면 경사도를 간단히 만들어 주는 방법이다.
2.모형 제작을 위한 인상채득
  -상악 ⇒ 상악결절과 hamular notch까지 재현
  -하악 ⇒ retromolar pad와 설측 sulcus까지 재현
  -외부 ⇒ 치은협 이행부까지 재현
▶인상채득 시 tray의 가장자리에 utility wax를 감싸주는 이유 ⇒
① 인상재의 유지 ② 치은협 이행부를 정확히 재현 ③ tray의 가장자리가 조직에 가하는 압력을 감소
3.수평모형 제작순서 ⇒ 인상 채득 → 경석고 주입 → 고무mold를 사용하여 상하악 기저부  제작 → 상악모형의 후면형성 → 교합면의 기포제거 → 상하악을 교합시킨 상태에서 이미  형성된 상악 후면과 동일한 선상에 위치하도록 하악의 후면 형성 → 상하악의 기저면을 삭제함으로 교합시킨 상하악모형의 높이가 7m가 되도록 한다. (기저면 ⇒ 치은부 ⇒ 양악 치아부 = 1 ⇒ 1 ⇒ 1) → 기저부의 외형(옆면, 옆면과 후면사이의 면, 앞면)형성 → 모형면의 주변형성과 수정(잇몸, frenum 등의 형태를 재현) → 샌드 페이퍼로 표면을 윤택하게→ soaping
4.★Simon의 3평면
1)안이평면(F.H.평면) ⇒ 좌측의 안점과 양측의 이점을 포함하는 수평면, 악의 수직발육을 판단
2)안와평면 ⇒ 양 안점을 수직으로 연결한 가상의 선, 악과 치아의 전돌 및 후퇴를 판단
3)정중시상평면 ⇒ 정중구개봉합과 일치하고 안이평면과 안와평면에 수직인 평면, 악의 협착과 개대를 판단
  ※정중선 일치정도의 평가에서 상하악간의 상대적인 중심선 일치 여부는 알 수 있지만 안면두개의
정중 시상면에 대한 관계는 알 수 없다.

가철성 교정장치 (3문항)
★★[상교정장치]☞제목은 상교정장치이지만 Active plate라 생각하고 공부해야 함. 거의 대부분의 상교정장치는 가철성 장치이다.
1.Active plate의 구성요소 (보정장치 같은것임)
  *base plate ⇒ resin. 모든 부속물을 유지시킨다.  working part에서 오는 반작용력을 분산시켜 준다. 
anchorage의 기능을 담당한다.
  *retentive component ⇒ clasp(유지, 안정, 이동되지 않는 치아에 장착)   labial bow
▶clasp의 종류
   -jackson clasp ⇒ 근원심undercut을 이용 , 0.7mm, 제1대구치에 주로 적용. 유치나 치경부 미맹출시는 적용불가.
   -crozet clasp ⇒ 근원심undercut을 이용 보조선으로 jackson clasp보다 유지력이 좋다. 주선(0.8mm),보조선(0.6mm)
   -arrowhead clasp ⇒가장 강한 유지력, 특수 pliar필요, 이물감 ,교합장애× , 협측면에 사용됨, 미완료맹출치에도 양호한유지력.
   -modified arrowhead clasp(adams clasp) ⇒ 이물감이 적으며, 유치, 영구치에 모두 사용하고,
맹출중인 치아에도 사용할 수 있으며, 견고, 정밀, 강한 유지력, 술자 마음대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0.7mm wire사용 . 가장많이 사용, 작고 깨끗하다.  상교정장치 유지에도 사용된다.
   -loop clasp -> 엠브레져에 끝을 둥글게 말아서.. 강한유지력 필요없는 보정장치나 activator에 사용
   -moyer clasp -> loop clasp의 loop에 resin을 첨가하여 ball을 만든다.
   -ball clasp  -> 엠브레져에 끝이 볼모양. 0.7mm clasp 끝을 쏠더메탈로 둥글게 납착해서 제작.
   -visick clasp  -> 0.7mm 협.설의 undercut에 이용
   -duyzing clasp ⇒ 근원심undercut을 이용
   -conventional circumferential clasp (=C clasp)⇒ 구조간단, 제작간편, 대구치 0.9mm, 견치소구치 0.7mm 사용
   -roach clasp ⇒ 교합 장애가 없다.  Y모양 납착. 소구치부에서 추가유지력 얻음.
   -triangular clasp -> 치은부손상 적고, 유지력우수, 구조가 간단해 clasp의 변형시 수리용이
   -eyelet clasp -> triangular clasp와 유사. Sharp bend 없이 제작.
   -arrow pin clasp -> loop, ball 과 유사하고,  clasp끝부위를 삼각형으로 만들어 유지력발휘
*active elements ⇒ labial bow, spring, screw, elestics
*spring의 힘의 방향은 (spring arm에 대하여 직각)  arm의 길이가 길수록 힘의 작용범위는 증가
          스프링은 치아 설측면에 직각되게 (전치 순측 이동시)
  ▶screw의 종류
   -skeleton type screw ⇒ 치열궁 확대반대교합된 상악구치(소구치,대구치)를 협측으로 이동, 다수치아의 이동
   -sectional screw ⇒ 다수치아의 전, 후, 측방이동 시에 사용
   -traction screw ⇒ 이개된 치아의 공간 폐쇄
   -piston spring screw ⇒ 이물감이 적고 지속적이고 탄력적, 이물감 적다. screw안에 spring이 있어 약함.
   -three dimensional screw ⇒ 독립된 각각의 세 방향으로 이동시킬때 사용 , 전방과 양측방으로 동시확대
   -★fan type screw ⇒ 상악전치부를 구치부보다 많이 확대시 사용함.(상악)
   -★mandibular bow screw ⇒ 구치부의 이동없이 전치부만 협측으로 확대된다.(하악)
                               전치부의 lateral and sagittal(lateral and anterior) expansion 에 사용
-expansion screw ⇒  1주일에 90도 회전( 처음 일주일은 1회, 다음부터 4~5일에 1회, 성인은 7~10일에 1회)
                   이동시킬 치아의 설측은 acrylic에 의해 충분히 덮어야 한다.
                         치열궁 길이가 부족한 경우 공간확보는 주의를 요해야 한다.
-★hyrax expansion screw(R.P.E.) ⇒ 정중구개봉합을 이개. 고정성 교정장치, 레진상없는 고정장치에 사용.
(=rapid palatal expansion screw)   wire 납착된 band가 함께사용. 고정식확대나사장치 , 치열궁 확대시 사용
                                 1일 2회회전(180˚)
   -norwegian plate screw ⇒ 하악전돌증환장의 치료를 위해, activator내에 첨가해서, 상악전치를 순측이동시킴
   -telescopic expansion screw ⇒ 원심이동이나 측방이동을 위해 retangular guide pin을  지닌 screw

구강악습관 제거장치 (1문항)
1.Anti finger sucking appliance ⇒ 손가락을 빠는 습관 , fance부: 교합평면에 45도
   상악전치는 순측경사, 하악전치는 설측경사    *구성요소 - 주선, band, fence, spur
2.Tongue guard ⇒ 혀를 내밀거나 빠는 습관
   상하전치의 순측경사로 open bite를 초래   * tongue spur, tongue crib, lingual crib, palatal crib
   -고정식 tongue guard의 구성요소 - 주선, band, guard(fence, spur, crib, wall)
   -가철식 tongue guard의 구성요소 - resin, labial bow, clasp, guard(fence, spur, crib, wall)
3.Lip bumper ⇒ 하순을 깨물거나 빠는 습관 (☆기능성 교정장치) – 아랫입술
   상악전치는 순측경사, 하악전치는 설측경사   * mandibular labial bumper, lip plumper
   구성요소 - band, 순측호선, tube, resin전정판부 ,  순측 치경부 전장판.
  1)하순의 접촉을 막아 치아가 정상의 위치로 이동
  2)입술을 빨거나 깨무는 습관의 제거
  3)하악 제1대구치의 근심경사를 제한하거나 원심이동 시킴
4.Oral screen ⇒ 구호흡 환자, 순부전증 환자 (☆기능성 장치, 근기능 훈련장치)  . 치열궁의 협착, 상하악 전치의 순측 경사
.oral shield, vestibular screen    .구성요소 ⇒ resin 전정판부, 손잡이    .☞구성교합 채득이 필요
구호흡 개선 등에 사용.                  
*cheek biting inhihitor – 을 깨무는 습관에 사용됨.

기능성 악교정장치 (3문항)
[Activator]
․Andresen이 Haupl의 협력을 얻어 1936년에 발표한 대표적 악교정장치
   근육의 힘을 활성화 시켜 이용하기 때문에 얻어진 명칭  . Andresen's appliance, Norwegian system, Monobloc
※기능적 악교정법이란 악골의 교정을 목적으로 인위적으로 유도교합을 구성하여 채득한 구성교합을 바탕으로 장치물을 제작하고, 이 장치물의 착용시 발생되는 저작근이나 구강 주위근의 강제적 변위로 인하여 발생되는 기능력을 교정력의 근원으로 이용하여 치아와 악골에 기능적 자극을 줌으로서 조직의 개조, 변형, 악골의 발육, 변위 등을 유발시켜 정상교합으로 이끄는 교정치료법이다.
가)장점과 단점
⊙장점구조와 제작법이 간단, 야간착용만으로 치료가능. 저작,발음,심미적장애가 없다.
        치근흡수,과도한 치아이동등의 위해작용이 없다.  구강청결유지에 유리. 통원간격을 길게 할수 있다.
        사용법이 간단하여 소아의 조기치료수단으로 유효, 공간유지 기능, 보정장치로도 사용가능.
단점적응증 제한, 환자의 협조필요. 연령이 증가할수록 좋은 효과를 기대할수 없다.
나)적응증과 금기증
①★적응증 ⇒ * 심하지 않은 class Ⅱ, Ⅲ              * 가성Ⅲ급               *협측의 교차교합
              * 심한 수직 피개와 개교 교합      * Activator는 보정장치로도 사용된다.
②★금기증 ⇒ 양악 전돌증, 골격성 부정교합, 구성교합 채득이 어려운 경우,
              비질환 환자, 구호흡 환자, 불면증 환자, 총생과 이개가 심한 환자
장치의 구성 ⇒ 유도선, resin상, 교합면부, 상익부, 유도면
               ※유도면은 치아의 설면과 맞닫는 상(resin)의 부분으로 삭제하는 형태에 따라 치아이동이 가능
구성교합의 채득 ⇒
  - classⅡ ⇒ 하악의 최대전방이동량의 절반 가량 약 5mm가 적당
  - classⅢ ⇒ edge to edge가되도록 후방이동
  - 수평이동량이 많으면 opening의 양은최소로, 수평이동량이 작으면 opening의 양은
최대로 두어야 적절한 근육긴장을 야기할 수 있다.
*activator 제작후, class3 부정교합에서 삭제해야  할 부위로 옳은 것은 – 상악구치 유도면의 근심면, 하악구치 유도면의 설측면
하악구치 유도면의 원심면.
*activator 사용시 총생이 있으면, 치료후에 activator를 제작해야 한다.

[Bionator] –근의 기능력을 이용(주로 ‘’)
  Activator와 모양 및 적응증이 비슷하나, resin의 양을 줄이는 대신 wire(특히 coffin spring)를 보강하여
이물감을 줄이고 견고함을 주었다.
  Activator와 다른 점은 혀의 위치를 적절히 유도하여 근육기능을 수정하는 기능을 가진다.
  ☞coffin spring의 기능.
   -혀의 위치를 수정하는 기능, 구치부의 확장으로 악궁확대 기능, 장치의 강도, 내구성, 안정성을 도모하는 기능.
①Bionator의 본질적인 4가지 기능.
-하악후퇴의 치료 ⇒ 하악턱과 치아를 재위치.
-혼합된 하악후퇴와 상악돌출 ⇒ Bionator장치에 head gear를 부착.
-과개교합 개선 ⇒ 후방치아를 새로운 지지형태로 유도.
-과도한 하악 안모 높이 치료 ⇒ 치아가 맞물리는 표면을 resin으로 덮고, chin cup과 결합.
②Bionator의 치료목적.
-순측부위의 입술과 전치 사이에 생기는 lip trap과 비정상적 관계를 제거.
-외상성 deep bite에 의해 야기되는 점막의 상처를 제거.
-하악의 후퇴 및 혀와 관련된 위치이상의 수정.
-정확한 교합평면의 획득과 혀와 뺨의 근육을 차단.
③Balters bionator의 기능
-classⅡ type ⇒ 심한 over bite와 deep bite를 동반한 classⅡ div.1 치료시 혀를 후방 위치.
                crowding을 보이는 classⅠ의 좁은 악궁의 치료.
-classⅢ type ⇒ 혀가 전상방에 위치될 수 있도록 기능적 공간을 부여하고, 혀는 구개를 덮지 않은
상악의 전치부에 접촉하여 상악의 전방 성장요소를 자극한다.
-open bite type ⇒ 전방 또는 측방에서 open된 공간을 폐쇄시키는 기능 과 TMJ장애를 치료하는 기능.

[Function Regulator] –(FR) 조직에서 지지 얻음. ★★★★★★★★★★★★★★★★★★★
;동독의 frankel이 처음 고안   *혼합 치열기 및 초기 영구치열기에 적용.
  -하악골이 전후로 밀리거나 좁은 악궁 혹은 입주위 근육의 불균형 등이 복합적인 문제로 야기된 부정교합 환자에게 구순부와 협근등 구강주위 근육들의 비정상적인 압력을 구강전정부에 위치하는 판상으로 차단하는 등의 근기능력을 이용하여 근육, 뼈, 그리고 치열의 발육에 동시에 영향을 주기위해 사용된다.  비정상적인 근기능력 제거로, 치아나 치조골 발육패턴 변화시킴.
★frankel의 최종적인 목적은 치궁의 외방성장을 유도하여 골격성의 개선 및 안면의 균형을 얻는 데 있다.
 **상악 vestibular fold 의 깊이는? 치은연 상방 10mm 이다
장치의 종류와 적응증
1)FR Ⅰ - classⅠ, classⅡ div.1 malocclusion.
   -FR Ⅰa, Ⅰb ⇒ minor crowding(총생)이나 치조골의 성장부족이 있는 classⅠmalocclusion.
                 overjet이 5mm 이하인 classⅡ div.1 malocclusion.
-FR Ⅰc ⇒  overjet이 7mm 이상인 classⅡ div.1 malocclusion.
FR1은 canine clasp 사용함.
2)FR Ⅱ - classⅡ div.1 malocclusion.
classⅡ div.2 malocclusion.
.seating groove형성목적 –1. 장치를 적절한 위치에 고정시키는역활,
2.상악전치의 설측경사 방지-장치가 원심으로 비틀어지기 때문에..
3.상악구치의 정출방지
.lingual spring – 전치 정출 방지.  
.하악에 lip pad 존재함.
    FR2는 canine extention wire 사용함. Lip pad 가 하악에 있다.
    ** FR2, FR4는 최후방구치로 Palatal bow가 지나간다.
3)FR Ⅲ - classⅢ malocclusion (상악이 열성장된 classⅢ malocclusion)
    FR3은 lip pad가 상악에 있다. Labial arch(Labial bow: 0.9mm)가 FR3만 하악에 있고, 전부 상악에 있다.
4)FR Ⅳ - classⅠ open bite와 bimaxillary protrusion(★Activator에서는 비적응증이었음) 에 사용
   ** FR2, FR4는 최후방구치로 Palatal bow가 지나간다.
   ☞protrusion bow는 FR Ⅱ, FR Ⅲ에만 있다.
     lip pad는 FR Ⅲ에만 상악에 있고, 나머지는 모두 하악에 있다.
     FR Ⅰa에는 하악 설측에 lingual wire loop이 있고, FRⅠb에는 lingual acrylic pad가 있다.
     FR Ⅰ에는 canine clasp가 있고, FR Ⅱ 에는 canine extension wire가 있다.
구성교합 채득
  FRⅡ ⇒ 2~6mm의 하악골 전진, opening의 양은 소구치들 사이에서 2mm.
           절치의 위치는 end to end 관계.
   FRⅢ ⇒ wire가 지나갈 수 있는 최소의 공간이면 충분 (약1-2mm).
           만약 deep bite가 존재한다면 높혀 줄 필요가 있다.

작업 모형 제작
-모형의 외형은 치조돌기에서 적어도 6mm이상의 폭을 갖도록 준비-wax relief의 두께.
   3mm와 buccal shield의 두께 2.5mm를 보충.
-Lip pad와 Buccal shield가 위치할 부분의 삭제 ⇒ 치조골 기저부의 최대 곡선부로부터 약 5mm를 삭제.
-Lip pad의 깊이 - 절치의 절연에서 20mm, 치은 연하에서 12mm로 한다.
  *삭제의 이유★
   1)적절한 연장으로 조직에 적절한 긴장을 가한다.
   2)적절한 긴장은 골막조직을 당기고 골의 작용이 증가한다.
   3)점막이 pad밑에 끼는 것을 방지.
   4)장치가 움직이거나 기능이 마비되는 것을 예방.
④★interproximal notch
-위치 ⇒ c와 d사이, e의 distal.
-1.5mm의 폭과 깊이.
-위치할 wire ⇒ canine clasp, palatal bow.
-유의점 ⇒ 측면으로 확장하는 것을 막지 못하도록 서로 평행해야한다.
-제작이유 ⇒ 장치가 항상 적정한 위치에 있으며, 비틀어지기 때문에 일어나는 상악전치의  설측 경사를 막고,
상악구치의 정출을 막는다.
⑤wax relief  ★★★★★
  FRⅡ ⇒ 상하악 치아부분에서는 3mm, 상악 치조부에서는 2.5mm, 하악 협측부에서는
치은 연하 2mm 지점까지 서서히 줄어들도록 제작. 
FRⅢ ⇒ 왁스 relief는 (상악을 확대해야 되기 때문에, 상악만 하며) 하악에는 하지 않는다,
치조부와 치아부분 모두 3mm,  상악에 lip pad 존재한다.

[Tooth Positioner]★기능성 장치
  ;치료 후 약간의 회귀현상, 미세한 공간의 제거, 긴밀한 교합관계를 획득하고자 할 때.  
  교정 + 보정   실리콘으로 만든다.
  Dynamic Positioner의 치아이동 원리.
   -두벌의 치아 모형을 준비하여 한 모형은 set-up하고 한 모형은 연구모형으로 제작하여 비교하며 재배열.
   -치아를 하나씩 분할하여 이상적인 위치로 이동시켜 set-up모델을 만들고 이 set-up모델을 다시 복제하여
작업모델로 사용한다.
   -실제 배열과 이상적인 배열간의 차이에 따른 각 부분에 왜곡이 생기고, 이 왜곡을 해소하여 원상태로 돌아가려고 하는
silicone rubber의  탄성적 복원력이 치아이동을 유발시켜 점차 이상적인 재배열상태로 변화된다.
*silicone rubber  1.장점: 무색투명하여 장치의적합성 파악이 용이하고, 무취하여 불편감없고, 생체에 대한 독성이 없으며.
                         경화제의 양에 따라 탄성률 조절 할수 있다.
                 2.단점: 경화반응시 기포형성된다.
고정성 교정장치 (2문항)
1.설측호선장치(☆lingual arch)
  1)장치의 구조 ⇒ 좌우 제1대구치에 유지band 장착.
                  0.9mm의 주선을 밴드에 연결.
                  0.5mm의 보조탄선을 주선에 납착.
                 주선 + 유지밴드 + 유지장치(각부, 유지관, 유지탄선) + 기타구조(보조탄선).
2)적응증 ⇒ 전치의 순측이동 및 구치의 협측이동 , 치아의 근원심 이동 ,공간 확보.
              공간유지 , 경미한 치열궁의 확대 ,맹출시 교합유도 ,보정장치로 활용 ,악간고정장치의 고정원.
  ▶보조탄선의 종류
   1)single spring 단식탄선 ⇒ 전치의 순측 및 구치의 협측이동, 작용범위가 짧은 단점
   2)double spring 복식탄선 ⇒ 단식탄선과 적응증은 같으나 약하고 지속적인 교정력을 얻는 장점, 가장 많이 사용함.
   3)finger spring 지양탄선 ⇒ 치아의 근원심 이동, 납착방향은 주선에 대하여 직각.
   4)endless spring 연속탄선 ⇒ 절치 및 구치의 회전이동, 소구치의 협측이동
2.횡구개 호선장치(T.P.A.) – 유지 band의 납착부위 (근심설측능각)에 유납한다.
  1)구치의 회전이동.
  2)구치의 원심이동.
  3)치근의 torque.
  4)고정 및 안정장치(유지).
  5)구치의 압하 및 정출 방지.
  6)구치간 폭경을 약간 확대 및 축소 할 수 있다.
3.Porter lingual arch(W- Arch) ⇒ band, w자 모양의 wire.
4.Quad-helix(p 214) ⇒ W- Arch와 비슷한 형태이나, coil이 감겨있어, 더 탄력적인 힘으로 밀어낼 수 있다.
★★협착 치열을 확대하는 고정성 교정장치
  ①R.P.E.
  ②Porter lingual arch.
  ③Quad helix.
  ④Lingual arch(경미).
  ∴T.P.A ⇒ 구치간 폭경을 약간 확대하거나 축소할 수 있다.
※가철식 장치의 S.P.E. 역시 악궁을 확대 할 수 있다.

[기타장치]
1.공간유지장치(space maintainer) ⇒ =보격장치 = 간격유지장치
      공간을 유지 할 수 있어야한다.
                 가능한 기능적이어서 대합치의 과도한 맹출을 방지할 수 있어야한다.
                 지대치에 과도한 압력을 가하지 않아야 한다.
                 청결이 쉬워야 한다.
                 저작 발음 등 구강기능을 저해하지 않아야 한다.
  -가철식 공간유지장치 ⇒ resin, labial bow, clasp, 인공치.
  -고정식 공간유지장치 ⇒ band & loop.
  *crown distal shoe ⇒ 제 1대구치가 맹출하기 전에 제 2유구치가 상실될 때 제 1유구치에 crown을 제작하고 
그 원심부에서 연장되는 plate형의  distal shoe를 치은내로 삽입하여 치조골내에서 제 1대구치의 바른 맹출을 유도
  *기능적 &비기능적 ⇒ 대합치의 맹출을 방지할 수 있어야 기능적이다.
2.공간확보장치(space regainer) ⇒ 인접치가 경사되어 이미 상실될 공간을 확보하는 것
                대부분 제1대구치를 원심이동시키는 경우가 많다.
  -helical spring space regainer.
  -split saddle space regainer ⇒ omega형의 loop를 치은선에서 하방으로 연장.
  -expansion screw space regainer⇒ 견고, 차지하는 공간이 적어 하악에서 유용.
  -sling shot space regainer ⇒ 이동될 치아 협.설측에 제작한 양측의 hook에 고무줄걸어 치아이동,
공간상실 심한 경우 적용.

3.Anterior bite plate –상악에 장착하는 상교정장치.
   1)과개교합 해소 , 혼합치열기의 과개교합치료, 전치의 수직피개양 줄임.
   2)구치협설측 이동 시 교합간섭배제.
  -비적응증 ⇒ 골격성 부조화나 긴 안모를 지닌 ClassⅡ부정교합.
  -수평부의 설계 ⇒ 폭은 교합점에서 5mm후방까지, 높이는 구치부가 1-2mm 떨어지게, 하악전치들이
균일하게 교합될수 있도록.
  -labial bow는 순측이동방지를 위해 순면에 접촉되도록, 혹의 Sved type.
4.Posterior bite plate
   1)전치나 구치의 반대교합시 교합간섭의 제거가 필요할 때 , 구치 교합면까지 레진으로 피개.
   2)측두하악관절의 긴장이나 통증을 일시적으로 완화시키기 위한 교합거상 필요시.
   3)bruxism을 해소 , 반대교합된 다수의 전치 이동에 사용.
5.★Inclined bite plate ⇒ Anterior bite plate와 동일한 형태이나 수평부를 경사시켜 하악전치의 경사유도면을 형성
   1)bite plate와 같이 구치의 붕출을 유도하여 수직피개를 감소시키는 교합거상목적
   2)하악이나 하악전치가 경사유도면을 따라 전방이동되어 수평피개를 감소
   -과도한 수직피개나 수평피개를 지닌 혼합치열기의 classⅡdiv.1 부정교합치료에 효과적 ,
근육의 기능력 이용 경사각도는 교합평면에서 45도
6.Inclined plane ⇒ 상악 전치 1-2개치아의 설측경사로 인한 반대교합 치료시 효과적 , 레진으로 전치교합 덮음
   -구조 ⇒하악4전치 또는 6전치를 덮는 고정부분과 상악의 반대교합치의 위치에 내상방으로 연장된 사면부
   1)구조 간단  2)제작 용이  3)단기간에 교정  4)재발 부작용이 적다.  *6주이상 장착은 금기
[기본기술]
① pliers에 대한 wire의 위치
  1)큰 루프나 원형의 굴곡은 큰 부리의 기저부에서, 작은 루프는 직경이 작은 tip에서
  2)와이어가 부리부분의 축에 대해 직각으로 위치
  3)플라이어는 잡는 기구로만 사용하고, 손가락을 가지고만 구부려야 한다.
  4)엄지손가락을 가능한 플라이어에 근접하게 되면 예리한 각을, 멀리 떨어지게 되면 둔한각을 얻는다.
  5)플라이어는 표시된 바로 뒤(직전)에 위치시킨다.
  6)와이어는 항상 모형에 수동적으로 맞아야 한다.
② 납착 기술
  1)납착될 위치를 깨끗하게 2)서로 수동적으로 접촉
3)납착용 합금이 빨갛게 되거나 밴드가 빨갛게 되도록 가열해서는 안된다.  4)환원대에서 납착
  5)원치 않는 부위는 anti flux를 사용  6)와이어가 변성되지 않도록 신속히 납착한다.

[유치의 맹출시기]
유중절치[생후 6~8개월],  유측절치[생후 7~9개월],  유견치[생후 16~20개월],  제1유구치[생후 12~16개월]
제2유구치[생후 20~30개월]

[영구치의 맹출시기]
상악
중절치[7~8세], 측절치[8~9세], 견치[11~12세], 제1소구치[10~11세], 제2소구치[10~12세]
제1대구치[6~7세], 제2대구치[12~13세], 제3대구치[17~21세]
하악
중절치[6~7세]측절치[7~8세], 견치[9~10세], 제1소구치[10~12세], 제2소구치[11~12세]
제1대구치[6~7세], 제2대구치[11~13세], 제3대구치[17~21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